top of page

탈북민의 하나원 교육 경험 향상을 위한 하나원 교재 Upgrade

2021년 3월 ~ 2021년 10월

김성우, 하영지, 한향련, 정민솔, 한은수

연구 개요

<하나원 교육교재 개선 프로젝트>는 하나원과 MOU를 맺고 진행한 과제로, 서비스디자인의 더블다이아몬드 프로세스를 활용해 최종 수요자인 탈북민의 눈높이에 맞는 교육 설계를 연구하여 수요자 중심의 정보 설계를 제시하고 하나원 교육과정에 사용할 수 있게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배경

하나원은 탈북민의 남한 사회 정착을 돕기 위한 실질적 교육을 제공한다. 이 과정에서 다양한 교육 정책과 지원 제도를 소개하며, 교육 과정 중 발생되는 문제의 피드백을 통해 서비스를 개선하고자 시도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회 정착 관련 정보와 교육이 탈북민의 실제 남한 생활까지 원활하게 이어지지 않는 이유는 교육 서비스가 여전히 공급자 중심에 있기 때문인 것으로 간주된다. 따라서 이 과제는 남북한의 문화, 사회체제, 언어, 교육수준 등 다양한 측면에서 발견되는 차이점을 고려하여 최종 수요자인 탈북민 중심의 교육 서비스로 개선하는 것에 집중하여 수행되었다.

연구 과정

 

다이아몬드 프로세스에 기반하여 하나원의 여성 탈북민 대상의 임신과 출산 관련 교육교재 및 정보 리플렛을 개선하였다. 발견(Discover) 단계에서 기본적 데스크리서치와 하나원 현장 관찰을 진행하였고, 전문가 인터뷰를 통하여 하나원 교육과정의 전반적 상황을 수집했다. 또한 교육의 실제 수요자였던 탈북민을 선정하여 하나원 교육경험과 남한 사회 적응에 관한 FGI를 진행하였다.

 

정의(Define) 단계에서는 교육서비스 최종 수요자인 탈북민의 인터뷰에 중점을 두고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여 정보 습득 정도와 연령에 따른 대표 유형 3가지를 퍼소나로 설정하여 하나원 교육과정의 As- is CJM을 완성하였다. 또한 기존에 제공되던 임신과 출산 관련 리플렛의 직접 수용자였던 하나원 수료생을 대상으로 사용자 조사를 진행하여 기존 리플렛에서 발견되는 오류들을 정의하고 분석하였다. 이 과정을 통해 탈북민의 하나원 교육 서비스 경험의 주된 페인포인트를 도출하였고, 이에 기반하여 새로운 정보 제공 해결책을 발굴하고자 했다.

 

발전 (Develop) 단계에서는 정의 단계에서 발견된 주요 페인포인트를 개선하는 것에 집중하여 반복적인 프로토타이핑을 통해 최종적으로 개선된 리플렛에 대한 사용자 조사를 진행하였다.

 

전달(Deliver) 단계에서는 임신과 출산 정보 리플렛의 최종 개선안과 함께 신생아용 초점책과 신생아 알림 스티커 등의 구성품을 추가적으로 디자인하여 키트로 제작하여 하나원에 전달하는 것으로 마무리됐다.

 

연구 결과

하나원 임신과 출산 관련 정보 안내 리플렛

개선된 리플렛은 현재 하나원을 통해 제작되었으며, 하나원에 입소하는 탈북 여성에게 전달 및 하나센터에 비치되어 배포될 예정이다.

리플렛 목업 - 미혼모 시설.jpg
리플렛 목업 - 지원내역.jpg
리플렛 목업 - 주의사항.jpg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