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uture of Technology | Design for Humane Technology
현대 사회를 구축한 기술은 사회 변혁의 지배적 요인으로 자리 잡았습니다. 특히 IT는 20세기 중반부터 세상의 모습을
지속적으로 바꾸어 왔습니다. 기술은 사회의 발전을 이끌기도 하지만 정보 격차 (digital divide)나 SNS의 사회적 역기능과 같은 새로운 문제를 야기하기도 했습니다. 동전의 양면 같은 모습을 지닌 기술이 긍정적인 방향으로 사회를 이끄는 건
기술 창안자의 의지와 사회구성원의 노력으로 만들어집니다.
미래경험디자인랩은 미래를 실현하는 최신 기술이 개인의 삶의 질 향상과 사회의 발전에 기여하는 경험 디자인적 방안을 연구합니다.
기술 그 자체는 유용할 수 있으나 기술을 이용하는 주체가 어떤 경험을 하는가에 따라 기술의 유해한지 아니면 이로운지가 좌우됩니다. 테크놀로지가 사람을 위한 기술(human technology)을 넘어 개인과 사회에게 이로움을 주는
인도주의적 기술 (humane technology)로 승화하는 데에는 디자이너의 역할이 중요합니다.
미래경험디자인랩은 기술의 지식과 디자인의 지혜가 합쳐진 humane technology를 ‘기술이 가야하는 미래’로 정의하면서
지속적으로 등장하는 미래유망기술 (emerging technology)에 대해 HCD (human-centered design) 관점의 UX를 연구합니다.
AI, IoT, 자율주행차, 4차산업혁명, 스마트 시티 등 우리를 미래로 인도할 기술을 경험 디자인으로
humane technology화 하는 방안을 모색합니다.
Future of Design | Design for Society
사회 각계각층의 삶의 질을 높이고 사회적 발전을 이루는 데에 기여하는 디자인의 사회적 책임 (design’s social responsibility)은
디자인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자리잡아가고 있습니다. 디자인의 미래는 이 새로운 패러다임에 있습니다.
디자인은 현재 확장적 진화를 거듭하고 있습니다. 전통적 디자인이 유형적 사물의 스타일링에 집중했다면 미래의 디자인은
무형적 사회가치의 경험을 창안하는 데에 집중할 것입니다. 앞으로 디자인은 사회문제 해결, 사회혁신 발굴, 정부정책 개발,
공공서비스 설계 등 사회의 광범위한 영역으로 디자인 대상을 더욱 넓혀갈 것입니다.
미래경험디자인랩에서는 ‘디자인의 사회적 책임’ 이라는 이념 속에 환경 보호, 인권 신장, 혐오 타파, 삶의 질 향상 등
다양한 사회적 난제(wicked problem)를 해결하는 디자인 연구를 수행합니다.
미래경험디자인랩에서는 다음과 같은 미래 디자인의 분야를 연구합니다.
사회문제해결형 디자인 Design for Society
사회혁신디자인 Design for Social Innovation
정부를 위한 디자인 Design for Government
공공 서비스 디자인 Public Service Design
적정 기술 디자인 Appropriate Technology Design
Future of Korea | Design for Unity
미래경험디자인랩에서 다루는 세 번째 미래는 바로 우리 자신의 미래입니다. 한민족인 우리의 미래는 한반도의 통일에 있습니다.
남북 간에 전쟁을 종결짓고 항구적인 평화 체제를 구축하여 민족의 번영을 함께 도모하면서 궁극적으로 하나의 국가로 재통합하는
한반도 평화 통일이 우리가 한반도에서 그리는 미래의 비전입니다. 미래경험디자인랩에서는 한반도의 통일과 남북한 주민간의
통합을 이루는 데 기여하는 통일 디자인 (design for unity) 연구를 수행합니다.
창의적인 문제 해결 능력과 방안으로서의 디자인은 1969년 허버트 사이먼의 저서 ‘인공과학 (The Sciences of the Artificial)’이
출간된 이후 디자인계에 종종 참고하는 디자인의 정의입니다. 창의적 문제 해결의 역량을 통일과 접목시킨다면
통일 디자인은 ‘한반도 평화 통일의 전중후 시점에서 발생 가능한 여러가지 사회적 문제 및 도전사안에 대한
창의적 해결 능력' 이라고 정의할 수 있습니다.
통일 디자인은 디자인의 확장적 진화의 연장선 상에서 ‘통일’ 키워드를 집중적으로 다룹니다. 디자인 씽킹의 기법과 경험 디자인의
이론을 토대로 한반도 통일에 대한 혁신적 아이디어 발굴, 발생 가능한 문제의 창의적 해결, 국민의 통일 인지도 확산,
시민과 공동창의(co-creative design)로 함께 만드는 통일 정책 등 다양한 주제를 심도 있게 다루는 연구 분야입니다.
통일 디자인은 명칭 그대로 통일이라는 무형의 경험을 디자인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