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ScienceON 정보 서비스 이용자 경험 디자인 연구

2019년 3월 ~ 2019년 9월

김성우, 천수경, 오원준, 장도담, 한향련, 김소정, 조원흥

연구 개요

<ScienceON 정보 서비스 이용자 경험 디자인 연구>는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I)의 위탁과제로 KISTI의 서비스인  ScienceON의 UX 품질을 향상시키는 구성 모델과 새로운 service feature를 포함한 서비스 이용 시나리오를 발굴하고, ScienceON의 UX 품질을 평가할 수 있는 사용성 평가(Usability Evaluation) 방법을 정립하는 과제이다. 전반적인 연구 프로세스는 더블다이아몬드 프로세스(Double diamond process)를 기반으로 진행하였다.

연구 배경

과학기술연구에 있어 과학기술인력의 양성이나 과학기술개발 인프라의 확보 뿐 아니라 양질의 과학기술정보를 효과적으로 제공하는 것 또한 중요하다. 현재 이를 지원하기 위한 다양한 과학기술정보 제공 서비스들이 존재하며,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에서 제공하는 약 30개의 서비스가 여기에 해당된다. KISTI에 서는 약 30개의 다양한 서비스들의 연계, 융합을 목표로 하는 지능형 과학기술 지식인프라 서비스인 ScienceON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ScienceON에서는 과학기술정보, 국가R&D정보, 연구데이터 확인 및 정보분석이 가능하며 R&D 활동에 도움이 되는 전문적이고 다양한 과학기술 지식인프라를 통합적으로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ScienceON 웹 사이트 이용 시 다소 떨어지는 편의성으로 인해 사용자들은 지속적인 이용을 결정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연구 과정

<ScienceON 정보 서비스 이용자 경험 디자인 연구>는 영국 Design Council이 배포한 대표적 디자인 프로세스 모형인 ‘더블다이아몬드 모델’을 기반으로 진행하였다. 더블다이아몬드 모델의 각 단계별 특성에 따라 관련 UX 방법론을 적용하여 세분화한 것은 다음과 같다. 

 

 

 

 

 

 

 

 

 

 

 

 

 

[ScienceON 연구 프로세스]

● 1단계 (Discover) 배경 조사를 통해 최신 웹 트렌드와 ScienceON의 기초적 이해를 다지고, 사용자 조사를 통해 As-Is 사안점을 집중적으로 발굴하는 단계

-[ScienceON 분석]: ScienceON을 이해하고 사용자 조사의 기준을 마련하기 위한 목적으로 ScienceON의 기능을 분류

-[유사 서비스 분석] : 유사한 성격의 플랫폼 서비스를 선정하여 조사 및 분석하고 해당 서비스의 기능과 사용성을 파악

-[선행연구 검토] : 웹 서비스에 대한 기초적 이해를 다지고 트렌드 요소를 파악하기 위해 아티클, 매거진 등 자료를 검토하고 ‘2019 웹 트렌드 컨퍼런스’ 참관

-[User Grouping] : ScienceON의 현 사용자 정보를 토대로 사용자 집단을 구분하고, 각 집단별 조사 방법, 절차, 기간, 인원 등의 계획을 수립

-[사용자 조사] : 문제 정의 및 디자인 방향 도출을 위한 사용자 행태 조사, 사용자의 집단별 구분에 따른 차이 분석

● 2단계 (Define) 이번 과제에서 집중할 ScienceON의 key issue를 결정하고, 과제 완료 시점에서 우리가 바라는 ScienceON을 정의하는 단계

-[Persona 및 User Flow] : 사용자 조사를 토대로 사용자를 몇 명의 구체화된 인물로 유형화하고 각 인물의 ScienceON 이용 과정을 구성

-[Issue Define] : 사용자 조사 결과를 UX관점에서 분석하여 ScienceON의 이용 편의성을 저해하는 요인을 발굴하고 현 시점의 문제를 파악

[ScienceON 사용자 퍼소나]

● 3단계 (Develop) Define 단계에서 정의한 key issue에 대한 해결안을 발굴하고, 새로운 ScienceON의 UX 구성 모델과 그에 따른 서비스 이용 시나리오를 개발하는 단계

-[Concept Define]: ScienceON의 기능과 체계, 문제점 등 선행 조사의 분석 결과를 총체적으로 고려하여 ScienceON 해결안의 전개 방향을 결정

-[Idea Develop] : 도출된 문제(Issue)에 대한 해결안 모색을 위해 다양한 해결안(Solution) 아이디어를 다수 도출

-[Idea Workshop] : 발산과 수렴의 과정이 포함된 4차례의 아이디어 워크샵을 진행하여 적절한 해결안을 선정하고 각 해결안을 보완 및 구체화

● 4단계 (Deliver) ScienceON의 해결안에 대한 각종 산출물을 집대성하여 최종 결과물로 정리 및 재구성하고, Usability 평가 방법론을 정립하는 단계

-[Wireframe] : 도출된 해결안을 구체적인 도식적 표현인 와이어프레임으로 제작

-[Workflow] : 제작된 와이어프레임을 토대로 해당 기능을 접근 순서대로 나열한 워크플로우 구성

-[To-Be Scenario] : 향상된 ScienceON의 이용 경험을 검토하기 위한 목적으로 해결안에 대한 예상되는 이용 여정을 사용자 유형별로 분석하고 이를 시나리오로 제작

-[Evaluation Method] : 개선된 ScienceON의 이용 편의성, 사용성을 평가하기 위한 방법을 제안하고, 구체적인 평가 내용, 항목, 방법 등을 구성

 

 

 

 

 

 

 

 

 

                                                                                                            [UX&UI Solution]

연구절차.png
스크린샷 2020-04-08 오전 3.30.32.png
스크린샷 2020-04-08 오전 3.42.50.png
스크린샷 2020-04-08 오전 2.22.13.png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