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통일 디자인 스튜디오

최종 수정일: 2021년 12월 24일

Studio on Design for Unity

강의 소개

 

통일 디자인 스튜디오는 미래경험디자인랩의 주된 연구 테마인 통일 디자인 (Design for Unity)을 중점적으로 다루는 수업입니다.


강의의 목적은 한반도의 평화 통일 및 남북 주민간의 원활한 통합을 위한 디자인의 역할과 가치를 탐구하는 것입니다. 특히 경험 디자인 (experience design) 영역의 디자인 씽킹 (design thinking)을 통해 분단과 갈등에서 기인하는 한반도의 사회적 난제 (wicked problem)에 대한 창의적이고 혁신적인 접근 방안을 연구/실무 차원에서 다룹니다.


수업은 team teaching 형식으로 2개의 미니 강의로 나누어 병행합니다. 첫 번째 미니 강의에서는 '북한 바로 알기'의 차원에서 북한 정보와 지식을 학습합니다. 두 번째 미니 강의는 통일 디자인 씽킹을 중심으로 다양한 연구 및 실무 과제를 다룹니다.


강의 내용 (예: 2019년도 가을학기)

 

미니 강의 1: 북한 스터디

  1. 오리엔테이션 1: 북한 사회를 어떻게 볼 것인가 과거와 현재를 구별짓기? 우리 안의 North Koreanism

  2. 사회체제 인식: 일란성 쌍생아의 탄생: 국립서울대학교와 김일성종합대학의 창설 (김기석, 서울교육과학사, 2001)

  3. 사회체제 인식: 영화 폴란드로 간 아이들 (추상미, 2018)

  4. 사회체제 인식: 브론펜브레너가 본 미국과 소련의 아이들 (Bronfenbreanner, 서울 샘터사, 1991)

  5. 사회체제 인식: 북한 인식의 정치적 회로 (구갑우), 김정은 체제와 남북관계 전망과 과제 (고유환)

  6. 심리적 접근: 사이코의 섬: 감정정체 분단체제의 사회심리 (한스 요하임 마즈, 서울 민음사, 1994)

  7. 통일과 동독: 동독 청소년의 집단적 정체성과 고정관념 (이영란 외) / 통일 이후 동독 대학생의 가치관 변화

  8. 교육적 접근: 김정은 시대 직업인으로서의 역할 기대, 북한 고등교육의 변화: 학위체계를 중심으로 (엄현숙)

  9. 일상의 접근: 북한 속어 석끼 담론을 통해 본 북한 주민의 마음 (이수정) / 실리 사회주의 시대 평양시간 ' 한 여학생의 일기' (이명자)

  10. 탈북과 여성: 여성 탈북민에 대한 감정경계 (남궁찬), 탈북 여성은 어떻게 말할 수 있는가 (이선민)

  11. 이주민의 시각: 영국 뉴몰든 코리아타운 내 남한이주민과 북한난민 간의 관계와 상호인식 (이수정 외) / 탈북자를 넘어서 (이향규)

  12. 남한 살이: 남한 교육현장에서의 탈북 교사 / 남한교육현장에서의 탈북 청소년

  13. 접촉지대: 접촉지대와 경계의 재구성 (이수정) / 인천아시아게임 남북 여자축구 관람기 (김성경, 2014)

미니 강의 2: 통일 디자인 씽킹

  • 북한이탈주민의 남한 병원 이용 경험의 향상을 위한 서비스 디자인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