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인터랙션 디자인 2: 서비스 디자인의 기초

최종 수정일: 2021년 12월 24일

Interaction Design 2: Basics of Service Design


강의 소개

 

인터랙션 디자인 2: 서비스 디자인의 기초 강의는 서비스 디자인의 이론 및 실무 지식을 통해 경험 디자인 (experience design)의 기초를 학습하는 수업으로 매해 가을 학기에 미래경험디자인랩에서 개설합니다.  



인터랙션 디자인 (Interaction Design) 강의 시리즈

인터랙션 디자인 1 및 2는 경험 디자인의 기본적인 이론과 실무 지식을 학습하는 강의입니다.

  • 인터랙션 디자인 1 → UX (User Experience, 사용자 경험)을 토대로 경험 디자인을 공부

  • 인터랙션 디자인 2 → 서비스 디자인 (Service Design)을 토대로 경험 디자인을 공부

두 강의 목표는 동일하게 경험 디자인 분야에 대해 탄탄한 기반(baseline)과 기초 역량을 갖추는 것입니다.

인터랙션 디자인 1과 2의 차이

가장 큰 차이는 어떤 세부 영역을 통해 경험 디자인 (experience design)을 학습하는가 입니다. 인터랙션 디자인 1은 UX를 중심으로 공부하고 인터랙션 디자인 2는 서비스 디자인을 중심으로 공부합니다. UX와 서비스 디자인은 경험 디자인의 양대 축을 이루는 세부 영역입니다. 산의 정상에 오르는 여러 등산 경로가 있듯 경험 디자인 (experience design) 분야를 공부하기 위한 두 개의 경로가 있다고 보시면 됩니다.

인터랙션 디자인 1과 2중 어떤 것을 수강하는 게 좋을까?

인터랙션 디자인 1이나 2중 한 수업만 공부해도 경험 디자인의 분야의 기초적 역량 및 기반을 다지는 데에는 충분합니다. 한편으로 등산 경로마다 산의 고유한 경치를 볼 수 있고 코스별 재미와 난이도가 있듯 UX와 서비스 디자인 역시 서로 유사하면서도 철학이나 방법론에 차이가 존재합니다. 따라서 경험 디자인의 기틀을 다지면서 UX와 서비스 디자인 양 전문 분야의 탄탄한 지식을 갖추고자 한다면 인터랙션 디자인 1과 2 수업을 모두 수강하는 것을 권고합니다. 참고로 1, 2의 숫자는 수업 구분을 위한 식별자일 뿐이며 1을 공부한 후 2를 공부해야 하는 것과 같은 단계적 의미는 없습니다.


강의 내용

 

경험 디자인의 정의

  • 경험 디자인 (experience design)의 기초 개념

  • 경험 디자인의 3대 분야 (UX, SX, CX)

Service Design의 정의

  • 서비스 디자인 분야의 정의와 범주: What is Service?

  • What is Service Design? (Service Design is _______________ )

  • 결과물의 종류로 보는 5개의 서비스 디자인 정의

Service Design의 원칙 & 핵심 개념

  • 서비스의 4가지 특성

  • Line of Visibility

  • Service Moment

  • 서비스 제공자 & 수용자, 그리고 이해관계자

  • Co-creation

  • Co-production

  • Service Evidence

  • Sequencing

  • Narrative based Service Flow 

Service Design Process

  • 더블 다이아몬드 (Double Diamond)

  • 이해하기 및 발견하기 (Discover) 단계

  • 정의 (Define) 단계

  • 발전 (Develop) 단계

  • 전달 (Deliver) 단계 

Service Design Tools

  • The Essential 3, 3대 필수 도구 1: 고객여정지도 (Customer Journey Map)

  • The Essential 3, 3대 필수 도구 2: 이해관계자지도 (Stakeholder Map)

  • The Essential 3, 3대 필수 도구 3: 서비스 청사진 (Service Blueprint)  

  • 기타 도구: Diary, Mobile Ethnography, A Day in the Life, What if, Shadowing, Service Safari, Desktop Walkthrough, Service Role Playing (Service Staging) 등 

Advanced Topics in Service Design

  • 서비스 디자인 과제 수행에서의 고급 주제를 스터디

  • UX와 서비스 디자인의 유사점과 차이점

  • 대기 시간 (Waiting Time) 핸들링

  • 문화와 규범화 

  • Service Value Model  


bottom of page